본문 바로가기
Canva(캔바) 활용하기

캔바로 유리 효과(glass effect) 주기

by 소소한 사무직 2023. 10. 6.

캔바 유리 효과 메인 이미지

[목차]

1. 유리 효과 주는 방법

2. 꺾인 선 사용 하기

 

 

 

 


 

 

 

 

캔바로 유리 효과
Glass Effect 주기

 

 

이 번 포스팅에서는 캔바로 유리를 얹어 놓은 느낌, 유리창에 글씨를 쓴 느낌을 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주로 벽을 배경으로 하거나, 식물을 배경으로 하는 경우 함께 쓰이면 청량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. 식물, 환경과 관련된 주제로 발표를 할 때 적용하기 적절한 효과입니다. 캔바로 해당 효과를 주기 위해 프레임과 유리 사진, 도형의 테두리를 사용합니다. 그리고 도형의 테두리와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데, 꺾인 선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. 해당 사용법에 대해서도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1. 유리효과 주는 방법

 

 

유리 효과를 준 템플릿 화면 입니다.

 

 

유리 효과 Glass effect 이미지
벽과 식물 배경에 텍스트 배경으로 유리 효과를 주었습니다.

 

 

 

위의 디자인을 위해 다음의 요소가 필요합니다. (배경 이미지, 유리 이미지, 프레임, 꺾인 선)

 

 

 

[배경 삽입]

  • 페이지의 배경에 삽입할 사진을 찾기 위해 "사진"에서 "식물 벽"을 검색하여 적당한 사진을 삽입합니다.
  • 사진을 우클릭 후 "배경 교체"를 눌러 해당 사진을 배경으로 지정해 줍니다.

 

 

 

[유리 프레임]

  • 요소 - 프레임 - 테두리가 없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을 선택합니다.
  • 해당 프레임에 넣을 유리 이미지를 "사진"에서 "유리"를 키워드로 검색합니다.
  • 유리 질감이 나는 적당한 사진을 찾아 프레임에 드래그하여 삽입합니다.
  • 해당 사진의 투명도 조절을 위해 상단 메뉴의 바둑판이미지의 투명도 선택 후 30으로 설정합니다.
    투명도가 낮을수록 투시율이 높아져 뒤의 배경이 잘 보이게 됩니다. 글씨의 가독성을 위해서는 투명도가 높을수록 불투명하여 잘 보입니다.

 

 

[테두리 만들기 ① 도형으로 만들기]

  • 요소 - 도형 -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을 선택합니다.
  • 프레임 크기와 동일하게 도형 크기를 조절합니다.
  • 채우기 색은 없음으로 하고, 테두리 굵기는 4, 모서리 둥글게 만들기는 프레임에 맞춰 수치를 조절해 줍니다.

 

 

유리 사진
프레임과 테두리를 별도로 만들어 겹쳐줍니다.

 

 

 

 

 

2. 꺾인 선 사용하기

 

도형으로 테두리를 주는 방법 외에 꺾인 선을 이용해 테두리를 만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 

[테두리 만들기 ② 꺾인 선으로 만들기]

  • 요소-도형-직선을 삽입합니다.
  • 해당 선을 클릭 후 위의 "줄 유형"에서 꺾인 선을 선택합니다.

 

 

캔바 꺾인 선 1
줄 유형 - 꺾인 선

 

 

  • 선을 프레임 상단으로 가져가 프레임 가로길이와 동일하게 길이를 맞춰줍니다. (양쪽 끝의 동그란 부분을 드래그)

 

 

캔바 꺾인 선 2
동그라미를 잡고 드래그하여 길이 조절

 

 

  • 가운데 납작한 바를 잡고 위로 드래그해 프레임 상단 부분까지 끌고 갑니다. 

 

 

 

 

  • 세로 부분에 생긴 바를 약간씩 바깥쪽으로 드래그해줍니다.

 

 

캔바 유리 효과
세로에 있는 바를 바깥쪽으로 드래그

 

 

 

  • 그다음 하단에 있는 동그란 부분을 프레임의 하단 가운데에 맞춰 줍니다. (보라색 표시되면서 달라붙음)
    그러면 아래로 선이 내려가면서 곡선을 만드는데 하단 바를 드래그해서 프레임 높이와 맞춰줍니다. 

 

 

아래로 볼록꺾인 선 조절
아래로 볼록 해진 것을 바를 드래그해서 높이를 맞춰줌

 

 

 

  • 반대쪽도 동일하게 해 줍니다. 그리고 마지막으로 세로줄에 있는 바를 드래그하여 너비를 맞춰줍니다.

 

 

프레임에 테두리 주기
프레임에 테두리가 생겼습니다.

 

 

 

  • 하지만 모서리를 보면 프레임과 테두리가 잘 맞지 않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  • 선 스타일 - 모서리 둥글게 만들기 수치를 조절하여 프레임과 맞도록 조절해 줍니다.

 

조절 전

조절 전
조절 후

조절 후

 

 

 

 

 

tip.

프레임과 테두리를 별개로 작업해서 겹치게 하는 이유는 투명도 조절 때문입니다. 유리 이미지가 삽입된 프레임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배경을 얼마나 비치게 할지, 글자가 얼마나 또렷하게 보이게 할지 등을 정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프레임에 테두리가 있다면 테두리까지 같이 투명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배경과 또렷하게 구분 지을 수 없습니다. 따라서 프레임과 테두리를 별개로 작업해 테두리에는 투명도를 주지 않고 프레임에 들어간 사진만 투명도를 조절해서 또렷한 느낌의 유리느낌을 내실 수 있습니다.

 

꺾인 선은 내용과 내용을 연결하는 표현, 계층적 표현을 할 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꺾인 선을 이용한 연결
꺾인 선을 이용한 연결

반응형